본문 바로가기

기본 지식15

현행 시스템 분석 1. 현행 시스템 파악 - 사용하는 소프트웨어/하드웨어/네트워크 구성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파악하는 활동 - 절차 : 구성/기능/인터페이스 파악 -> 아키텍처/소프트웨어 구성 파악 -> 하드웨어/네트워크 구성 파악 2.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- 소프트웨어 구성요소, 구성요소의 특성, 구성요소 간 관계를 표현하는 시스템 구조 -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프레임워크: 아키텍처 기술 표준 -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4+1뷰: 요구사항을 정리한 시나리오를 4개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졉근 방법. 1-유스케이스 뷰, 4-논리(기능), 프로세스(비기능), 구현(모듈), 배포 뷰 -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패턴: 소프트웨어 설계 시 참조할 수 있는 일반화된 솔루션 1) 계층화 패턴: 마주보는 두 개의 계층 사이에서만 상호작용 2) 클.. 2021. 6. 29.
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 1.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모델 - 소프트웨어 생명주기(SDLC): 시스템 요구분석부터 유지보수까지 작업 프로세스를 모델화한 것 - 모델 프로세스 1) 요구사항 분석 - 기능/비기능 요구사항 2) 설계 - 시스템 구조/프로그램/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3) 구현 - 인터페이스/자료구조 개발, 오류 처리 4) 테스트 - 단위/통합/시스템/인수 테스트 5) 유지보수 - 모델 종류 - 폭포수 : 타당성 검토->계획->요구사항 분석->설계->구현->테스트->유지보수 - 프로토타이핑 - 나선형 : 계획 및 정의->위험 분석->개발->고객 평가 - 반복적 2.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 - 소프트웨어 개발 모든 과정에 지속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, 절차, 기법 - 종류 - 구조적 방법론: 프로세스 중심의 하향식 방법론... 2021. 6. 29.
예외처리 (Exception Handling) 예외처리 (Exception Handling) - 스택 되감기 (Stack unwinding) - 기반 지식 프로그램 메모리(코드 메모리) : 코드를 보유하는 환경. 이 영역에는 다른 객체를 선언할 수 없음.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 해제된다. 정적 메모리 : static 키워드를 사용해 정적 변수를 선언하면 정적 메모리에 올라간다. 전역객체와 정적객체를 보유하는 영역.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 모든 객체를 정리하고 해제된다. 힙 메모리 : 런타임시점의 객체를 저장할 때 사용. Free 또는 동적 메모리라고도 부른다. new 키워드 사용. 스택 메모리 : 함수의 지역변수, 매개변수 등을 저장. last in first out. c++는 스택에 있는 객체만 이름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스택 메모리 포인터를 이용해.. 2021. 3. 23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