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AT (Network Address Translation)
- 주소가 이미 다른 네트워크에 할당되어 ISP가 수요를 허용하지 못할 수 있다. 그러나 대부분의 상황에선 소규모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의 일부만 동시에 인터넷에 액세스하면 된다. 이 경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술이 NAT이다.
- 사설망 밖으로 나가려면 NAT가 필요하다.
- 공유기가 NAT 역할을 한다.
- 라우터는 소속된 네트워크에 따라 여러 주소를 갖는다.
- ex) NAT 라우터는 (나갈 때) datagram source addr를 10.0.0.1, 3345로부터 138.76.29.7, 5001로 테이블 업데이트함 (5001은 사용중이지 않은 포트번호 할당한 것)
- (LAN: Local Area Network, WAN: Wide Area Network)
* Hole punching 기술
- 하나 또는 둘 모두가 방화벽 뒤에 있거나 네트워크 주소 변환을 사용하는 라우터 뒤에있는 두 당사자간에 직접 연결을 설정하기위한 컴퓨터 네트워킹 기술
- P2P 구현할 때 사용됨.
- 위의 예에서 10.0.0.1이 클라이언트일 땐 문제가 없는데, 서버라면 문제가 된다. (밖에서 저 10.0.0.1에 접근하려고 하는 경우)
- 사용자는 10.0.0.1인 서버에 접속하려면 랑데뷰 서버에 접속해서 정보를 가져와야 함
- 랑데뷰 서버에 있는 정보: u3456, 138.76.29.7, 5001
'네트워크 > 컴퓨터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eb and HTTP (0) | 2021.06.28 |
---|---|
Delivery and Forwarding of IP Packets (0) | 2021.06.28 |
IPv4 Addresses (0) | 2021.06.28 |
TCP options (0) | 2021.06.28 |
TCP (0) | 2021.06.28 |
댓글